음식물쓰레기2

음식물쓰레기,음식물처리기

미스크린 2008. 2. 22. 15:52

1. 음식물 쓰레기란 ?

2. 음식물 쓰레기의 문제점
1) 처리비 부담 및 경제적 손실
2) 환경오염

3. 음식물 쓰레기 발생 및 처리 현황
1) 발생현황
2) 처리현황

4. 음식물 쓰레기 해소방안의 필요성
1)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유발
2) 음식 재료의 낭비
3) 주요 발생원
4) 법적 규제

5.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1)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10가지 방법
2) 음식물쓰레기 감량 방법 1. 음식물 쓰레기란?

식품의 판매·유통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가정과 식당 등 조리 과정에서 식품을 다듬고 버리는 음식물, 먹고 남긴 음식물 및 식품을 보관했다가 유통기간 경과로 그냥 버려지는 농·축·수산물의 음식물류 폐기물을 말합니다

- 농·축·수산물 도매시장 등에서는 판매, 수송과정에서 먹을 수 없는 부분이 발생됩니다.

- 가정, 음식점등에서 구입한 식품의 훼손된 부분을 때 먹을 수 없는 부분이 발생되고 너무 많이 차린 식단으로 인해 먹고 남은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됩니다.

- 또한 필요이상의 식품을 구입해서 너무 오래 보관된 식품, 부주의로 변질된 식품 등 폐기되어 쓰레기로 되고 있습니다.

*문제점

지방자치단체의 청소예산 자립도가 30%대에 머물러 있음을 감안할 때 남은 음식물을 줄이지 않을 경우 국민의 부담은 더욱 늘어납니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 율은 30%밖에 안 되는 현실이고, 사료용 곡물수입 의존도는 무려 96%이고 사료용 곡물을 수입하는 데 매년 18억 달러,한화로 2조원 이상의 아까운 외화를 소비하고 있으므로 남은 음식물을 가축사료로 재활용하면 사료용 곡물수입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남은 음식물은 80%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쉽게 부패되는 유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남은 음식물을 분리수거 및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물질은 BOD 기준 6만에서 10만 ppm 정도의 오염농도를 나타냅니다.

-남은 음식물을 매립 처리할 경우에는 질소 및 유황 화합물에 의한 악취발생과, 등의 해충번식을 유발하며, 고농도 침 출수가 발생하여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립지를 잘못 관리할 경우 폐기물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대기·수질·토양· 지하수오염 문제까지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아직도 음식물쓰레기를 돈내고 버리나요?

무상체험 기회를 드립니다.(60kg, 80kg, 95kg)

무상체험후 만족하시면 계약하셔도 됩니다.....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친환경 적이며

거의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이 간편한

미생물 수분사방식의 음식물 잔반처리기를 생산, 보급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수분사방식 잔반처리기 미스터크린은

다양한 성상의 복합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시간에서 24시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 소멸하는 기술입니다.


음식물쓰레기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 을

음식물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분해할 수 있게 미생물을 배합함으로써

우리의 음식문화에 맞추어 악취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잔반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소멸화 할 수 있으며 (2차 처리 필요없음)

수거 및 운송수단의 재처리가 필요 없이

잔반을 발생현장에서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사용처:화로구이,갈비집,횟집,병원식당,구내식당,학교,

 

관공서,군대식당,수련원,아파트,콘도등 다량업소

 

문의: 011-275-5222 박성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