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음식물처리기,잔반처리기,미스터크린
[조선일보 2006-11-15 00:42:45]
|
![]() ![]() 배출량 느는데 내년부턴 처리비용까지 치솟아 자체 시설 만들려해도 건설비·주민반대로 난항 [조선일보 곽수근기자] 요즘 서울의 25개 구청은 걱정이 한 가지 늘었다. 가정·음식점에서 쏟아내는 음식물 쓰레기 때문이다. 2004년 10월 분리 배출을 의무화하고, 과태료도 부과하기 시작했지만 배출량은 되레 늘어나고 있다. 서울의 하루 음식물 쓰레기는 2004년 2650?, 2005년 3188?, 올해엔 3251?으로 계속 늘어왔다. 불과 2년 사이 22%나 증가했다. ◆배출량 늘고 처리 기준은 강화돼 게다가 내년 7월부터는 해양수산부가 ‘해양오염방지법’을 강화 시행하기로 하면서 처리 비용이 20% 가량 늘어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수분(침출수)은 바다에 버리는데, 이때의 고형물 허용 함량을 10%에서 5%로 낮춘 것. ‘제대로 짜라’는 얘긴데, 비용은 더 들 수밖에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증가세가 근래들어 주춤한 상황이라는 정도다.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해 최종 처리하기까지 드는 비용은 t당 무려 17만원에 이른다. 대형 음식점이 많아 하루 305t이나 내다버리는 강남구의 경우, 규제 강화에 따른 추가 비용이 하루 1000만원, 1년이면 36억5000만원이나 된다. 가장 적게 배출하는 금천구의 추가 부담도 연간 7억원이 넘는다. 서울 전체로 치면 하루 1억원, 1년 365억원이다. ◆3개 구만 전량 직접 처리 강동·도봉·강남·서대문·강서구는 자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을 갖고 있다. 하지만 100% 처리하는 곳은 강동·도봉·서대문구뿐이다. 나머지 22개 구는 전량 혹은 상당량을 경기·인천·강원·충청에 있는 민간업체와 계약해 처리하고 있다. 각 처리시설에서는 일단 물기(침출수)를 걷어낸 다음 나머지 고형물을 가공해 사료(60%)나 퇴비(38%)로 만든다. 전혀 쓸모 없는 ‘진짜 쓰레기’(2%)는 일반 쓰레기로 취급해 내다 버린다. 2개의 자체 처리시설을 가진 강동구는 자기 지역 쓰레기 전량과 종로·중·용산·성동·성북·중랑·동작·광진 등 8개 구의 음식물 쓰레기를 일부 처리한다. 처리 용량은 하루 300t이고, 매일 사료 43t과 퇴비 4t을 만든다. 사료는 농가에 거저 주고, 퇴비는 돈 받고 판다. 민간업체에 맡기지 않고 이렇게 직접 처리하면 비용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물론 위탁 처리 수수료도 챙기고 있다. ◆대부분 비용·주민 반대로 난항 당연히 다른 구들도 자체 처리시설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부지 마련과 건설비 문제 그리고 주민 반대에 막혀 대부분 별 진전이 없다. 동대문구가 결실을 눈앞에 둔 정도다. 동대문구는 올해 말 용두근린공원 예정지 지하에 첨단 처리시설을 착공할 예정이다. 홍사립 구청장이 나서 2년 넘게 인근 주민들을 설득해왔다. 시설이 가동되면 현재 t당 7만5340원인 처리비용이 3만2084원으로 줄어든다. 강남구는 거의 10년 전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폐기물 종합처리시설을 세곡동 중고자동차매매센터 부근에 지으려고 해왔다. 그러나 1400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 서대문구는 고양시 덕양구 난지하수처리장 안에 처리시설을 증설해 사용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고양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음식물쓰레기를 돈내고 버리나요?
무상체험 기회를 드립니다.(40kg, 60kg, 95kg)
무상체험후 만족하시면 계약하셔도 됩니다.....
수산중공업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친환경 적이며
거의 비용이 들지 않고 사용이 간편한 미생물 수분사방식의 음식물 잔반처리기를
생산, 보급하고 있습니다.
수산중공업의 미생물 수분사방식 잔반처리기 미스터크린은
다양한 성상의 복합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시간에서 24시간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 소멸하는 기술입니다.
그러나 수산중공업 미스터크린은 음식물쓰레기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 을
우리의 음식문화에 맞추어 악취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잔반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소멸화 할 수 있으며
수거 및 운송수단의 재처리가 필요 없이
잔반을 발생현장에서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구입문의 : 011-275-5222 박성묵
|